![](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9lLFa%2Fbtq0egPgVUB%2F7LYwVnuOqlUM2o30GYgYr1%2Fimg.png)
[Matlab] 콜론(:)에 대하여 | 등차수열벡터
·
수학
Colon(:)연산자, 등차수열벡터 등차수열을 만들어 변수에 넣어보자. (이 때 콜론이 아주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시작수 : 증가분 : 끝수 (증가분을 생략할시 기본 공차는 +1이다.) 예시) 단, 다음은 공집합이 된다. (공차 문제) 등차수열 만들기 참고사항: linspace(시작수,끝수,항수) 참고로, 콜론을 이용하여 등차수열을 만들 때에는 x = 1:0.25:2처럼 공차를 생각하여 작성해줘야 한다. (오해 금지! 끝 수랑 딱 떨어지지 않아도 된다. 1:0.3:2라고 입력하면 수열의 끝은 1.9다) 그런데 만약에 우리가, 항 수가 O개로 정해져있는 수열을 만들고 싶다면, 시작수, 끝수, 공차를 얼마로 설정해야 하는지 좀 고민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을 편하게 만들어 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