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큰 수를 부동소수점으로 표현할 때 e를 사용한다. 어떻게 보냐면, e의 앞과 뒤를 주목하면 된다.
3.6191e+04를 예로 들어보자.
ㅡe 앞: 3.16191
ㅡe 뒤: +04 -> 10의 지수를 표현
앞의 수 * 10^(뒤의 수)를 표현한 수가 3.6191e+04이다.
3.6191 * 10^04 = 36191
반응형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 format long의 사용 이유 (0) | 2021.03.10 |
---|---|
[Matlab] 화면에 출력 (0) | 2021.03.10 |
[Matlab] 소수점 길이 처리 - format (0) | 2021.03.10 |
[Matlab] 특수함수, 어림함수 | 반올림, 올림, 내림 ... (0) | 2021.03.10 |
[MatLAB] 기초 명령어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