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lab에서 어느정도로 크고 작은 실수까지 다룰 수 있는가?
이렇게 큰 수까지 matlab이 다룰 수 있다.
이걸 넘어서면 matlab이 다룰 수 없다.
그럼 얼마나 작은 수까지 다룰 수 있는가
(어 근데 사실 10^-324까지 다룰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알아두라고 하신다. 다룰 수 있다는 건 계산도 가능하다는 것. 그런데 그냥 저정도로 작은 값까지 계산할 수 있다고 이해하고 있으라고 하셨다.)
복소수 연산
복소수 i와 숫자 사이에는 *연산자를 넣지 않아도 된다.
다만, 변수와 i 사이에는 *연산자가 필요하다.
또한, 숫자가 아닌 sin(2)같은 식도 i와 곱하려면 *연산자가 필요하다.
2i는 복소수 연산이 되지만, a=2; ai는 안된다는 말.
sin(2)i가 아니고 sin(2)*i로 써야한다는 말. sin(2)i는 에러가 나타난다.
주의 : 10/2*i와 7/2i의 연산순서 차이.
/와 *는 우선순위가 같은 연산이기 때문에 왼->오 차례로 계산된다.
하지만 2i는 복소수 자체이기 때문에, 7/(2i)로 연산이 된다.
복소수 개념이 i, j에 담겨있으므로, 웬만하면 변수설정을 하지 말자.
만약 i, j에 다른 값을 넣었을 경우 다시 복소수로 초기화할 수 있다.
clear i 해주면 된다.
참고) 복소수의 절댓값, 각을 알고 싶다면
실수에서 그러는 것과 같이, abs()와 angle()을 이용한다.
참고) 복소수의 실수부분, 허수부분만을 뽑아내고 싶다면?
real()과 imag()를 사용해 얻을 수 있다.
켤레복소수는 conj(c)로 얻는다.
기억해두기
반응형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 변수 관련 명령어 | 변수 확인, 삭제, 지우기, 저장하기(save) (0) | 2021.03.11 |
---|---|
[Matlab] 난수함수/ 난수행렬 | 정수행렬 만들기 | 특정 행렬 기억하기, 저장하기 (0) | 2021.03.11 |
[Matlab] format long의 사용 이유 (0) | 2021.03.10 |
[Matlab] 화면에 출력 (0) | 2021.03.10 |
[Matlab] 소수점 길이 처리 - format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