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
compute 단순한 계산에 쓰이는,
calculate 복잡한 계산에 쓰이는 단어라고 한다
요런거 너무 좋다
연산자를 공부하자
!! 문자열은 더할 수만 있다.
아!! 솔루션 빌드의 단축키는 "컨트롤 + 쉬프트 + B" 숙지하자 너무 귀찮으니까!!
디버그안하고 시작은 "컨 +f5"
그렇다고 한다.
변수!!
변수는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값을 넣을 수 있는 저장소!! 오케이~
그런데 앞서 했던 내용 중, 상수에 이름을 붙이는 것도 변수를 선언한다고 말한다.
사실 이름을 붙이지 않으면 변수를 선언할 방법이 없으니..
변수의 종류
정수형 변수, 문자열 변수.
최종 결과값 가지는 변수를 왼쪽에 쓰고 , 연산은 오른쪽에 쓴다 ㅇㅋㅇㅋ
++변수에 아무 값도 안 넣고 사용해도 오류다. 빈 상자는 안 돼!
디버깅~~!
++
++
++
지금까지 배운 바에 의하면.. 가령 변수 appleCount에 들어 있는 값을 알고 싶을 때, Console.write()등의 함수를 이용해서 결과를 출력해 보았다.
하지만 매번 궁금할 때마다 이렇게 출력해본다면? 화면이 매우 지저분해지고
코드수정시 매번 다시 빌드 해야해서 번거롭다.
이럴때 필요한게 모다? 디버깅
+현업에서는 프로그램 만드는 기간보다 디버깅 기간을 더 길게 산정하기도 한다.
(버그가 있으면 안되지..!!)
ㅇ 중단점 (F9 or click)
중단점이 뭐냐 하면..
@ 내가 궁금한 점 : appleCount에 12값을 저장했는지 궁금하다. 그 변수에 12를 저장하는 순간을 보고 싶다.
중단점은 말 그대로, 프로그램 실행을 멈출 수 있게 하는 위치를 내가 설정하는 것.
중단점을 찍고 디버깅을 시작하면, 중단점이 있는 위치에서 프로그램 실행이 잠시 멈춤.
중단점을 찍고 디버깅하니까
비주얼 스튜디오 내부에 처음 보는 창들이 보인다. 나중에 배운다니 넘어가고 일단
중단점을 설정하고 , 디버깅 시작 후..
@이 상태에서 F10을 사용하여 한 줄씩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노란색 화살표 = 다음번에 실행할 줄.
@디버깅 취소하고 전 상태로 돌아가려면 F5를 누른다.
이렇게 중단점을 이용하여 한 줄 씩 코드를 실행하면 뭐가 좋은가?
매우 많다. #하지만 이 장에서는 변수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디버깅 중 변수 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주면, 현재 변수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일일이 모든 변수를 살펴보는건.... 불편...무리..
!! 자동 창, 로컬 창, 조사식 창을 이용하면 ?!? 편할 수 있다
중단점 상태에서 화면을 보면..
자동/ 로컬/ 조사식
세 메뉴가 있음
변수의 값을
자동: 추려서 보여준다. 우리가 관심을 가질 법한 변수만을 자동으로 추려서.
로컬: 한 함수 안에 존재하는 모든 변수값을 보여준다. (아직은 잘 몰라도 된다고 하니 나중에 공부하자)
조사식: 우리가 원하는 변수만 콕! 콕! 찝어서
조사식 창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우리가 선택한 변수라고..
변수 appleCount를 드래그해서 조사식 창에 넣으면 (아니면 변수 appleCount를 조사식 창에 직접 입력)
이렇게 변수 값을 볼 수 있는 창이라는 것이다.
디버깅 창은 용도에 따라 골라 쓰면 된다.
(이 책에서는 필요한 변수값을 확인하는 일이 대부분. so조사식 창을 쓰자고 한다.)
으아 드디어 숫자야구로 돌아왔다. 요거 재밌네요 숫자야구 만들기ㅠ.ㅠ!!
컴퓨터가 골랐던 숫자를 바꿨다.
변수에 다른 값을 다시 집어넣은 것임.
"변수에 값을 대입하는 방법, 대입한 값을 변경하는 방법"정도를 복습함.
빨리 문제 풀고 챕터 5 가자!!!
근데 벌써 12월 31일이다
양양이 보고싶다 힝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lo Coding 헬로코딩 프로그래밍 챕터5; 키보드 입력 (0) | 2020.01.01 |
---|---|
Hello Coding 헬로코딩 프로그래밍 챕터4; 기초문제 심화문제 (0) | 2019.12.31 |
Hello Coding 헬로코딩 프로그래밍 챕터3; 기초문제 심화문제 (0) | 2019.12.29 |
Hello Coding 헬로코딩 프로그래밍 챕터3; 상수 (0) | 2019.12.29 |
Hello Coding 헬로코딩 프로그래밍 챕터2; 기초문제 심화문제 (1)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