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만한 것>
Q11. 양의 정수의 자릿수
나는 맨 처음에 방법 1로 했는데
정수의 자릿수를 세는 방법으로 방법2가 있다는 사실을 검색으로 알게되었고
책의 답안을 열어보고 방법3을 새로 알게 되었다.
num = num/10이 가능한 횟수를 통해 자릿수를 셀 수 있겠구나~~~
Q15. 여러 가지 직각이등변삼각형 만들기
이 연습문제를 풀면서 for문을 원래 이렇게 많이 쓰는건가? 안쓰는 방법은 없나? 하고 생각했는데 답안에서 나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 빈칸을 for문으로 채우는 것이 괜찮은가 보다.
참고하실분은 더보기 누르세요 ~.~
Q16. n단의 피라미드
참고하실분 더보기 클릭 -ㅅ-
17번의 숫자 피라미드도 비슷한 논리~!
단지 스타를 나타내는 for문에 i%10을 print했다는 차이.
반응형
'자료구조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자료구조] 해시란? | 해시법(hasing) (0) | 2021.03.23 |
---|---|
챕터2 배열 - 연습문제 Q4, Q5 [Doit! 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 자바편] (0) | 2021.01.29 |
드디어!! (0) | 2020.12.23 |
[자료구조] ArrayList 구현 - remove, removeFirst, removeLast [JAVA] (0) | 2020.08.21 |
[자료구조] ArrayList 구현 - ListIterator 클래스 [JAVA] (0) | 2020.08.21 |